목차
Toggle고졸 후학습자 장학금(희망사다리Ⅱ유형)은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이나 창업 경험이 있는 대학 재학생에게 등록금과 취·창업 준비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학업과 경력을 병행하는 학생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학습 지속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는데요,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희망사다리Ⅱ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지원 대상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희망사다리Ⅱ유형)의 지원 대상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취업이나 창업 이력이 있는 대학 재학생으로, 일정 학년 이상과 성적 요건을 충족한 자에게 해당됩니다.
일반대학의 경우 3학년 이상, 전문대학은 2학년 이상 재학생이 대상이며, 직전 학기에 12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100점 만점 기준 70점 이상을 취득한 학생이어야 합니다. 단,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학생은 예외적으로 1학년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자는 반드시 대한민국 국적을 가져야 하며, 고등학교 졸업 이후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에 취업했거나 개인 창업을 한 이력이 있어야 하며, 현재 취업 중이거나 취·창업을 준비 중인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직무 관련 경력이나 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 우선 선발될 수 있으며, 자격 요건 충족 여부는 제출한 증빙 자료를 통해 확인됩니다.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지원 내용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희망사다리Ⅱ유형)은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이나 창업 경험이 있는 대학 재학생에게 학비와 진로 준비에 필요한 비용을 함께 지원하는 제도로, 학업과 경력을 병행하려는 학습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등록금은 학기별 실제 납부액 전액을 지원하며, 국가장학금 등 다른 장학금으로 일부가 충당된 경우에는 차액만큼이 지원됩니다. 등록금 외에도 취업 또는 창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학기당 200만 원의 장려금이 별도로 제공되며, 이 금액은 자격증 취득, 직무능력 개발, 창업 준비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장학금은 매 학기 단위로 신청과 심사를 통해 선발되어 지원되며,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경우 1학년부터, 일반대학은 3학년 이상, 전문대학은 2학년 이상부터 신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신청 방법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희망사다리Ⅱ유형)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일정 절차를 모두 완료해야 신청이 최종 접수됩니다.
신청자는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 접속해 로그인한 뒤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항목을 선택해 신청서를 작성하고, 취·창업지원금 사용계획서를 포함한 관련 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이후 온라인 사전교육(진단평가)을 이수해야 신청이 완료되며, 이 과정을 마치지 않으면 신청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제출 서류로는 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 사업자등록증, 직무역량 관련 수료증, 자격증, 수상실적 등 취업 또는 창업 경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이 요구되며, 이는 평가 시 가산점 항목으로 반영될 수 있습니다. 신청 내용과 제출 서류가 누락되거나 불완전한 경우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안내 사항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정확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학금은 매 학기마다 신청과 심사가 이뤄지며,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신청 일정과 공고 내용을 기준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심사 결과는 개별적으로 통보되며, 선발 시 등록금과 취·창업 장려금이 함께 지급됩니다.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문의처
접수기관
한국장학재단
문의처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 (☎1599-2000)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FAQ
장학금은 얼마가 지급되나요?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은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여기에 더해 학기당 200만 원의 취·창업 장려금도 함께 지급됩니다. 두 가지를 합치면 실질적인 학업과 진로 준비를 동시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장려금은 현금으로 받는 건가요?
장려금은 학생 본인 명의의 계좌로 현금처럼 지급됩니다. 단순 생활비가 아닌 취·창업 준비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사용 내역을 보고해야 하며, 확인 절차가 진행됩니다.
장려금 사용 내역은 어떻게 보고하나요?
장려금을 사용한 후에는 재단에서 제공하는 양식에 따라 내역을 작성해 제출해야 합니다. 사용한 금액에 대한 영수증이나 관련 증빙 자료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재단은 정기적으로 제출된 내용을 검토하고 점검을 실시합니다.

								